Surprise Me!

[김진이 간다]담배연기 가득한 ‘너구리굴’…간접흡연의 고통

2019-11-05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금연 구역이 늘어났지만 거리에는 아직도 흡연자들이 많습니다. <br><br>거리에서 이들이 모여 담배 피우는 장소들을 가보면, 자욱한 담배연기도 고통스럽지만 마구 버린 꽁초로 하수구가 막히는 일도 <br>많습니다. <br> <br>김진이간다, 김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<김진> <br>이곳은 직장인들이 많이 다니는 서울 광화문 거리입니다. 평일 점심시간인데요. 보시는 것처럼 거리 전체에 흡연자들이 나와서 담배를 피우고 있어서 솔직히 잠시도 숨을 쉬기 어려울 정도입니다. 이런 상습 흡연구역은 도시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요. 무엇이 문제이고, 흡연자들이 이곳에 모여 담배를 피울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인지 제가 확인해보겠습니다. <br> <br>광화문 인근 대로변은 금연구역입니다. <br> <br>금연구역에서 백 여 미터 떨어진 곳. 점심식사를 마칠 때쯤 가보니 직장인으로 보이는 시민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습니다. <br> <br>보행로를 완전히 점령해버린 흡연자들때문에 뻥 뚫린 야외인데도 너구리굴을 방불케합니다. <br> <br><비흡연자> <br>아, 담배를 왜 여기서 피우는 거야! <br> <br><비흡연자> <br>간접흡연이 몸에 더 나쁘잖아요. 저건 너무 이기적인 것 아니에요? <br> <br>약속이나 한 듯이 이곳에 모여 담배를 피우는 이유는 무엇일까? <br> <br><흡연자> 다들 그냥 여기서 피워서.. <br><흡연자> 여기도 흡연실이라고 생각하니까 오는 거예요. <br><흡연자> 지정 흡연구역이 없으니까 여기서 피우는 거예요. <br> <br>인상을 찌푸리는 비흡연자들이 많지만 금연구역이 아니어서 마땅한 해결책도 없습니다. <br> <br><종로구청> <br>저희 (종로)구가 별도로 흡연 부스라든지 이런 시설은 없는 상황인데요. 금연구역으로 되어있지 않는 구역들은 흡연자들을 계도 조치하라고 이야기합니다. <br><br>서울 대학로에 있는 대학 병원. 정문 에서 30미터 정도 떨어진 약국 골목도 상황은 비슷합니다. <br> <br><주민> <br>아! 담배냄새! 아휴! <br><br><주민> <br>(지나가는 사람이) 주로 환자들이잖아요. 담배 연기 안 맡아야 하는데.. 줄을 지어 피우는데 어떡해요. <br><br><환자> <br>저 같은 경우에는 호흡기 환자이면서 폐동맥 고혈압 환자인데요. 병 나으러 왔는데 병 얻어가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서. <br> <br>환자들이 약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 골목을 지날 수밖에 없는데요. <br> <br><약사> <br>앞에서 담배를 피워서 약국 내로 담배 냄새가 들어와요. 그래서 오죽하면 저희가 이렇게 써 놨거든요. 앞에서 담배 피우지 말라고. <br> <br>현관 위에 에어커튼까지 설치했지만 냄새를 완전히 차단하진 못합니다. <br><br>유동인구가 많은 서울시 강남역 일대. <br> <br>흡연자들이 머문 자리에는 늘 담배 꽁초가 수북합니다. <br> <br>구청이 담배꽁초 무단투기를 줄이고자 꽁초 수거함까지 설치했지만 무용지물. <br> <br><단속원/강남구청> <br>매일 단속하고 있어요. 쓰레기통이 있는데 바닥에 버리는 거예요. 여기(바닥)에 버리잖아요 <br> <br>담배꽁초를 버리면 폐기물 관리법에 따라 과태료 5만 원이 부과됩니다. <br> <br><비흡연자> <br>길에서 흡연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담배꽁초를 바닥에 버리겠다는 생각으로 피우는 것이 아닌가 <br> <br>길에 버린 담배꽁초는 하수도로 흘러 들어가는데요. 장마철 침수의 주요 원인이기도 합니다.. <br> <br><서울시 강남구청 청소과> <br>담배꽁초가 많이 쌓여서 (하수구로 들어가면) 역류 피해가 있어서.. 2주에 한 번씩 치워도 이렇게 많이 나옵니다. <br> <br>하수구 바닥에서 끊임 없이 나오는 꽁초. <br> <br>구멍 한 개에서 나온 담배꽁초의 양은 과연 얼마나 될까? <br> <br>개수를 일일이 세어보았는데요, 한 시간 동안 세어보니 무려 408개의 꽁초가 수거됐습니다. <br> <br>물론 흡연자들도 할 말은 있습니다. <br> <br><흡연자> 금연구역이 있으면 흡연구역도 있어야 하는데 금연구역만 있고 흡연구역이 많이 없어서. <br> <br>실제로 서울에 금연 구역은 28만여 곳이 있지만 흡연구역은 6200곳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<서울시 강남구청> <br>흡연구역을 만들려면 사람들이 많이 안 다니는 곳에 만들어야 하는데 그럴만한 장소를 찾기 힘들죠. <br> <br>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에서 매일 벌어지는 길거리 너구리굴 갈등은 쉽게 해결되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> <br>그러나 간접흡연과 하수구 막힘현상 같은 부작용 때문이 아니더라도 건강을 위해 금연을 다시 한 번 결심해보는 건 어떨까요. <br> 김진이 간다 김진입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